본문 바로가기
경제용어 바로 알기

이기자의 경제 용어 5

by journalistlee 2024. 5. 28.

본 시리즈는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경제금융용어 700‘를 바탕으로 합니다.

 

1. 계좌대체

 

중앙예탁기관에 계좌를 설정한 계좌 설정자간의 유가증권 수수를 실물증권의 인수도 대신 계좌간 대체하는 방식으로 장부상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주식·채권 등 증권거래의 결과 매도자의 증권을 매수자에게 이전해야 한다.

 

그런데 증권의 이전을 위한 실물증권의 인도 방식은 자본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증권의 대량거래와 잦은 소유자 변동 등을 감안하면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중앙예탁기관의 계좌대체 방식으로 증권의 소유권을 이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한국예탁결제원이 계좌간 대체 방식으로 증권결제를 수행하고 있다.

 

계좌대체는 예탁자의 개별적 청구 또는 시장 참가자간의 사전 약정에 따른 결제기관의 청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우리나라 「상법」에서는 증권거래에 따른 증권의 소유권 이전을 위해 해당증권을 교부하도록 하고 있고, 「자본시장법」에서 예탁자계좌부에 증권의 양도를 목적으로 계좌간 대체의 기재를 한 경우 증권의 교부가 있었던 것으로 본다는 교부의제 규정을 두고 있다.

 

1-1. 중앙예탁기관(CSD; Central Securities Depository, 證券中央預託機關)

 

[요약] 혼합보관이 가능한 대체성 있는 증권을 실물 또는 무권화 형태로 보관·관리하는 기관.

영문 머리글자를 따서 CSD로 약칭한다. 유가증권의 부동화(不動化)나 무권화(불발행)를 통해 계좌 대체 방식에 의한 권리 이전뿐 아니라 예탁증권의 권리 행사에 따르는 제반 관리 업무를 집중적으로 수행하는 기관이다. 즉 실물증권의 이동이 배제된 계좌대체에 의해 증권의 이전이 가능하도록 혼합보관이 가능한 대체성 있는 증권을 실물이나 무권화 형태로 보관하고 관리하는 기관을 말한다.

크게 선물·옵션·주식·채권·단기금융증권 등 대부분의 증권시장을 통합해 관리하는 단일 중앙예탁기관의 형태와 증권 종류별로 각각의 기관을 운영하는 형태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전자의 경우는 덴마크가 대표적이고, 후자는 미국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전 국가적인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예탁결제기구들이 통합화하는 추세에 있다.

주요 업무는 증권의 보관, 배당금 지급 및 원리금 상환 등 결제 후 업무 처리, 매매 거래의 대조와 동시이행(DVP)에 의한 결제기능 수행 등이며, 이를 통해 유가증권 거래에 따르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고, 증권 관리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흔히 미국의 DTC, 독일의 DBC, 일본의 JASDEC, 프랑스의 SICOVAM 등을 NCSD(National Central Securities Depository)라 하고 유로 클리어(Euro-Clear)와 같은 국제 예탁 결제기관을 ICSD(International Central Securities Depository)라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증권중앙예탁기관 [Central Securities Depository, 證券中央預託機關]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1-2. 유가증권

 

[요약] 일반적으로 재산적인 권리를 표시한 증서로서 화폐, 상품증권, 어음, 수표, 주식, 채권 등이 해당된다.

 

유가증권이란 일정한 금전이나 화물 등의 유가물에 대해 청구할 수 있는 권리가 표시된 증서, 즉 상법상의 재산권을 표시하는 증서를 말하는 것으로 단순히 '증권'이라고도 한다. 권리의 발생과 행사ㆍ이전은 증권에 의해 이루어진다.

유가증권은 '권리와 증권의 결합체'이며, 권리의 이전ㆍ행사를 원활하고 안전하게 하며 유통성을 높이기 위해 근대자본주의가 발달시킨 제도이다. 따라서 유통ㆍ이전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경우 입장권, 승차권 등은 유가적인 것을 표시하고 있어도 그것을 유가증권이라고 하지 않는다. 차용증서, 우표, 수입인지, 영수증 등도 유가증권에 포함되지 않는다.

유가증권은 경제적 성질에 따라 △물품증권 혹은 상품증권(선하증권ㆍ물품교환권) △화폐증권(어음ㆍ수표) △자본증권(주식ㆍ채권)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증권'이라고 할 때는 자본증권만을 가리키며 증권시장에서 다루는 것도 이 자본증권으로, 상장되어 있는 주식 및 채권을 지칭하는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유가증권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1-3. 인수도 (D/A;  Documents against Acceptance)

 

무역거래를 할 때 화물 인도조건의 하나로, 기한부 화환어음을 송부받은 은행이 어음의 인수와 동시에 선적서류를 어음 지급인에게 인도하는 조건이다.

 

2. 고객확인절차(KYC)

 

고객확인절차(KYC; Know Your Customer)는 고객의 신원을 식별하고 확인하는 (verify) 업무절차를 뜻한다. 모든 회사는 대리인ㆍ컨설턴트 등과 업무를 시작할 때에도 이 절차를 거쳐야한다.

 

이는 특히 은행ㆍ보험ㆍ수출금융 등 금융업무절차나 자금세탁방지(AML; Anti-Money Laundering) 규제에서 자주 거론된다.

 

이 절차의 목적은 주로 은행이 자금세탁행위 등의 범죄 요소로 악용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다.

 

은행은 고객과의 금융 거래를 더 잘 이해함으로써 고객의 리스크를 더 건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3. 고용률

 

고용률은 통계청에서 매월 작성하고 있는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집계된 15세 이상 인구(노동가능인구)에 대해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한편 실업률은 경제활동 인구 중에서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고용률은 실업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고용통계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즉, 고용통계에서 취업준비자와 구직단념자는 실질적인 의미에서 실업자이나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고 있음에 따라 이들이 늘어나면 실업률이 낮아질 수 있어 체감하는 실업률과 차이를 느끼게 한다.

 

그러나 고용률은 15세 이상 인구를 기준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간의 이동 등에 따른 경제활동인구수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고용률도 근로시간이 18시간 미만인 단시간근로자 및 일시휴직자 등 불완전취업자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국민들이 체감하는 고용상황과 차이를 보일 수 있다.

 

고용률(%) = 취업자/15세이상인구 X 100
실업률(%) = 실업자/경제활동인구 X 100

 

https://biz.sbs.co.kr/article/20000172916?division=NAVER

 

대기업, 장애인 고용률 2.43%…의무고용률 미달

[사진=연합뉴스]장애인 의무고용사업체들의 장애인 고용률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지만, 대기업은 여전히 의무고용률을 채우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오늘(23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biz.sbs.co.kr

 

4. 고용보조지표

 

국제노동기구(ILO)에서는 노동공급과 노동수요가 일치하지 않아서 일하고 싶은 욕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을 하지 못하는 노동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고용보조지표를 새로이 확정(2013년 10월)한 바 있다.

 

우리나라 통계청에도 기존의 공식 실업률만으로는 노동시장을 제대로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해 2014년 11월부터 새로운 고용보조지표를 발표하고 있다.

 

고용보조지표는 실업률을 추계하기 위한 공식적인 실업자 이외에 ▲아르바이트 등 단기근로를 하지만 재취업을 원하는 사람(시간관련 추가취업 가능자) ▲ 최근 구직활동을 안 했을 뿐 취업의사가 있고 취업 가능성이 있는 사람(잠재구직자) ▲ 구직 노력을 했으나 육아 등으로 당장 일을 시작하지 못하는 사람(잠재 취업가능자)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비경제활동인구에 포함된 잠재 취업가능자와 잠재 구직자를 합해 잠재경제활동인구라고 하고, 이를 기존의 경제활동인구와 합산하여 확장경제활동인구라 한다.

 

현재 고용보조지표는 그 포괄범위에 따라 세 가지 형태로 작성하여 공표되고 있다.

 

고용보조지표1은 경제활동인구 대비 기존의 취업자 중 시간관련 추가 취업가능자와 실업자의 비율이며, 고용보조지표2는 실업자와 잠재경제활동인구의 합을 확장경제활동인구로 나누어 구한다. 

 

한편 고용보조지표3은 확장경제활동인구 대비 시간관련 추가취업 가능자, 실업자 및 잠재경제활동인구를 더한 수치의 비율이다. 

 

최근 발표되는 고용보조지표를 보면 기존의 공식 실업률과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단시간 근로자가 많거나 '취업을 희망하고 있지만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 등이 그 만큼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현재 구직활동을 하지 않아 실업자로 분류되지 않는 사람이 많다는 것이다.

 

4-1. 실업률

[요약] 만 15세 이상의 인구 중에서 노동을 할 의지와 능력이 있으나 일자리가 없어 실업 상태에 놓인 사람들의 비율

 

취업자와 구직활동을 하고 있는 실업자를 포함한 '경제활동인구' 중에서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노동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도 일자리를 구하려는 의지가 없는 자는 실업률의 계산에서 제외된다. 또한 원칙적으로 학생과 주부는 제외하고 있으나 수입을 위해 취업하는 경우는 경제활동인구에 포함하고 있으며, 군인과 교도소 수감자 등은 무조건 대상에서 제외한다.

 

실업률(%) = [ 실업자 ÷ 경제활동인구 ] × 100

실업자의 기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는 '최근 4주간 일자리를 찾기 위해 노력했음에도 취업을 하지 못한 사람'으로 보고 있으며, 국제노동기구(ILO)에서는 '최근 1주 동안 구직활동을 하였으나 취업을 하지 못한 사람'으로 보고 있다. 즉, 조사 기간에 1시간 이상의 노동을 한 사람은 취업자, 그렇지 않으면 실업자로 분류하는 것이다. 때문에 OECD 기준으로 실업률 산출 통계를 내면 ILO 기준 실업률 통계보다 조금 더 높아진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제노동기구의 기준을 적용해 오다, 2005년 하반기부터 OECD 기준을 따르고 있다.

 

실업률은 실질실업률과 자연실업률로 구분된다. 실질실업률은 매달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공식실업률 통계와 통계에 추산되지 않으나 실제 실업 상태인 잠재실업자를 추가하여 산정하고 있는데, 실질실업률과 공식실업률의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에 대한 정확한 정설은 없고 정부나 연구기관 등에서 경제 상황을 감안하여 추정하고 있다. 자연실업률은 구조적인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실업률을 말한다.

실업률은 고용 여건에 따라 변동이 큰 경제활동인구를 기준으로 하고 있어 경기 여건에 따른 변동성이 크다. 예를 들어 노동시장 여건이 좋지 않아 구직활동을 하다 취업을 단념하게 되면 비경제활동인구로 넘어가게 되고 실업률은 떨어져 실제보다 지표변화가 과소평가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계속된 구직실패로 구직을 포기한 실망실업자들이 실업률에 잡히지 않아, 실질적인 실업률은 늘 통계보다 높기 마련이다. 반면, 실업률과 함께 사회고용 지표를 나타내는 고용률은 경제활동인구와 비경제활동인구 모두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노동시장 여건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실업률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40515_0002735596&cID=13001&pID=13000

 

4-2. 잠재경제활동인구

비경제활동인구 중 지난 4주간 구직활동을 했지만 취업이 불가능했던 사람과 지난 4주간 구직활동은 하지 않았지만 이 기간에 취업을 희망했고, 취업도 가능한 사람을 뜻한다.

 

학교를 졸업한 뒤 학원 등에 다니는 취업 준비생이나 고시생, 취업을 원하는 젊은 주부 등이 해당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잠재경제활동인구 (한경 경제용어사전)

 

5. 고용유발효과/취업유발효과

 

노동유발효과는 소비, 투자, 수출 등 최종수요의 발생이 생산을 유발하고 생산이 다시 노동수요를 유발하는 파급 메커니즘에 기초해 최종수요와 노동유발을 연결시킴으로써 분석한다.

 

이에 따라 노동유발효과는 노동계수와 산업연관표의 생산유발계수를 곱해 산출한 노동유발계수를 이용한다. 

 

노동계수란 일정시간 동안 생산활동에 투입된 노동량을 총산출액으로 나눈 계수로서 한단위(산출액 10억원)의 생산에 직접 필요한 노동량을 의미하며, 노동량의 포괄범위에 따라 피용자(임금근로자)만 포함한 고용계수와 노동량에 피용자(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 및 무급가족종사자를 모두 포함한 취업계수가 있다.

 

한편 노동유발계수는 노동계수와 생산유발계수를 기초로 산출됨에 따라 어느 품목부문의 생산물 한 단위(산출액 10억원) 생산에 직접 필요한 노동량뿐만 아니라 생산파급과정에서 간접적으로 필요한 노동량까지 포함하는 개념인 바, 노동계수에 고용계수를 이용하면 고용유발계수, 취업계수를 이용하면 취업유발계수라 한다.

 

5-1. 생산유발효과

각 산업의 생산활동은 소비, 투자, 수출 등의 최종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이루어진다.

 

물론 다른 산업의 중간재로 판매되는 생산재의 경우는 직접적으로 최종수요를 충족시키지는 않지만 궁극적으로 최종재 생산에 필요한 중간재를 공급하는 것이므로 간접적으로 최종수요를 총족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어떤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최종수요가 발생 하는 경우 이의 파급효과는 해당 재화나 서비스의 생산에 그치지 않고 관련되는 모든 산업부문 제품의 생산에 까지 미치게 되며 그 총산출의 규모도 결정되게 된다.

 

이처럼 최종수요에 의한 각 산업의 생산파급과정에서 총산출액의 수준을 생산 유발 효과라 하며 생산유발계수에 최종수요를 곱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생산유발효과 [effect on production inducement] (매일경제, 매경닷컴)

https://news.heraldcorp.com/view.php?ud=20240520050399

 

현대차그룹, GBC 新조감도 전격 공개…“생산유발 265조, 고용유발 122만명”

현대자동차그룹이 서울 삼성동 부지에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글로벌 혁신 거점이자 대규모 녹지공간을 갖춘 시민친화적 랜드마크 복합문화공간인 ‘글로벌 비즈니스 콤플렉스(GBC)’를 새롭게

news.heraldcorp.com

 

6. 고정금리

 

고정금리란 최초 약정한 금리가 만기때까지 그대로 유지되는 금리를 의미하며 변동금리란 일정 주기별로 시장 금리를 반영하여 약정금리가 변동하는 금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만기 1년, 약정금리는 4%의 고정금리라면 약정기간 1년 동안 시장금리가 어떻게 변하더라도 해당 약정금리는 4%이다.

 

반면 만기 1년, 변동주기 3개월, 약정금리 CD금리+0.5%(또는 50bp)의 변동금리라면 3개월에 한번씩 변동된 CD금리에 연동하여 약정 금리가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CD금리가 최초 약정 시 3.0%, 약정 3개월 후 3.2%, 6개월 후 3.5%, 9개월 후 4.0%라면 약정금리는 최초 약정 시 3.5%, 약정 3개월 후 3.7%, 6개월 후 4.0%, 9개월 후 4.5%가 된다. 

 

자금 차입자 입장에서는 앞으로 시장금리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에는 고정금리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주요 선진국 중앙은행의 정책금리 인상, 양적완화 축소 등 글로벌 금융긴축으로의 전환이 우리나라에도 시장금리 상승을 야기하고 있는 상황에서 주택담보대출 차입자의 재무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정부가 고정금리대출을 장려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동일 만기에서는 고정금리가 변동금리보다 높은데 이는 자금 대여자(은행)에게 약정 기간 중 금리 변동에 따른 위험 프리미엄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142217.html

 

7. 고정금리부채권(SB)

 

고정금리부채권(Straight Bond)이란 정해진 기일에 고정된 이자를 지급하고 정해진 만기에 원금을 지급하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채권으로 변동금리부채권(FRN; Floating Rate note)이 있다. 이는 정해진 기일에 특정 금리(예: 국내에서는 3개월 CD금리, 해외에서는 LIBOR금리)에 연동된 금리를 지급하고 정해진 만기에 원금을 지급하는 채권이다.

 

고정금리부채권에 대한 투자는 향후 금리 하락이 예상될 때 유리하며 금리 상승이 예상될 때는 변동금리부채권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인플레이션이 심할 때 인플레이션을 해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행되는 채권이 물가연동채권인데 이는 원금이 물가상승률(주로 CPI 사용)에 연동하여 증가한다는 면에서 변동금리부채권과 구별된다.

 

7-1. 변동금리부채권(FRN)

 

[요약] 채권 지급이자율이 금리변동에 따라 달라지는 채권

 

채권의 지급이자율이 시중 실세금리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채권이다.

 

채권은 이자율을 결정하는 조건에 따라 고정금리부와 변동금리부로 구분된다. 고정금리부 채권은 발행할 당시의 이자율이 만기 때까지 유지되는 회사채나 국공채 등을 말한다.

 

변동금리부채권은 주요한 기준금리가 변동함에 따라 지급이자율이 변동하는 것으로, 금리변동에 따른 위험을 채권보유자가 부담하는 것이 아니라 발행자가 부담하는 것이다.

 

주로 금융시장에 불확실성이 확산되면서 금리를 장기적으로 예측하는 것에 어려움이 따를 때 금리변동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발행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변동금리부채권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https://www.fnnews.com/news/202403191829328590

 

8. 고정분류여신

금융기관은 정기적으로 차주의 채무상환능력과 금융거래 내용 등을 감안하여 보유자산의 건전성을 5단계(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로 분류하여 각각 그에 상응하는 적정 수준의 대손충당금을 적립하여야 한다. 

 

고정분류여신은 차주 채무상환능력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요인이 현재화되어 채권회수에 상당한 위험이 발생한 여신 또는 3개월 이상 연체하거나 부도가 발생한 차주의 여신 중 담보처분에 의한 회수예상가액 해당 여신을 말한다.

 

현행 은행업 감독규정 에서는 고정분류여신에 대한 대손충당금은 기업 및 가계 모두 20% 이상 적용하여 적립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업 여신액 100억원 중 회수가능금액이 80억원일 경우 최소 16억원 이상 대손충당금으로 적립하여야 한다. 

 

*여신?

 여신이란 금융기관이 기업 등에 돈을 빌려주거나 보증을 서주는 등의 신용을 제공하는 것으로, 경제상황에 따라 규제하거나 완화하여 시행한다.

 

8-1. 자산건전성 분류

금융기관이 보유한 자산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금융감독원장이 정한 기준에 따라 자산의 건전성 정도를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5단계로 분류한 것을 말한다.


이처럼 자산 건전성을 분류하는 목적은 보유자산 건전성 정도를 평가해 불건전 자산 발생을 예방하고 이미 발생된 불건전 자산을 조기 정상화해 자산운용 건전화를 도모하려는 것이다. 그동안 자산건전성 분류는 과거 원리금 상환 실적에 기초한 연체 기준이었지만 최근 해당 여신의 미래상환 가능성에 초점을 맞춘 평가 방식을 도입하는 추세이다.


자산건전성분류에서 고정이하 여신비율이란 용어가 있다. 이는 은행 총여신 가운데 고정이하 여신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총여신은 은행계정, 신탁계정 및 종금계정의 여신합계액 중 은행간 대여금 등을 제외한 여신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은행업감독업무 시행세칙의 무수익여신산정대상 여신을 말한다.


고정이하여신은 총여신을 자산건전성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한 결과 산정된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의 합계액이다. 낮을수록 은행이 보유한 여신의 건전성이 양호하다고 판단한다.


새로운 자산건전성분류도 있다. 이는 미래 부채상환능력을 반영한 자산건전성분류기준이다. 금융회사의 부실여신 발생을 미리 막으려고 1999년 하반기 도입됐다. 몇 개월 간 원리금 상환 연체를 기준으로 자산을 분류하던 종전 기준과 다르다.


대출기업의 과거 금융거래와 영업실적, 현재 재무상태, 미래 사업가치, 채무상환능력 등을 따져 자산을 분류한다. 가령 현재 빚이 많더라도 사업전망이 좋은 기업에 빌려준 대출금은 높은 건전성 등급을 받는다.


사업성이 불투명한 기업에는 낮은 등급이 매겨진다. 통상 10개 정도의 등급으로 분류되는데 1~6등급까지 정상기업에 해당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자산건전성분류 [資産健全性分類] (매일경제, 매경닷컴)

 

9. 고정이하여신비율

은행은 보유하고 있는 여신을 자산건전성에 따라 5단계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있다. 


즉 자산건전성이 가장 양호한 상태인 정상에서부터 회수가 어려운 정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으로 분류한다.

 

이중 고정, 회수의문, 및 추정손실로 분류된 여신의 합계액을 총여신으로 나눈 비율을 고정이하여신비율이라고 한다. 

 

9-1. 추정손실

자산건전성 분류단계(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중 하나로 고정으로 분류된 거래처에 대한 총여신중 회수불능이 확실하여 손비처리가 불가피한 회수예상가액 초과여신을 말한다.

 

구체적인 예로 소송패소로 인하여 담보권이 소멸되고 차주 및 보증인이 행방불명되거나 상환능력이 없다고 판단되는 여신, 법적절차 완결 후의 잔존채권으로서 차주 및 보증인으로부터 상환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여신, 담보하자로 인하여 소송이 계속중이고 패소가 확실하다고 판단되는 여신 등을 들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추정손실 (한경 경제용어사전)

 

10. 고정자본소모

생산활동에는 공장, 기계설비 등 고정자본(시설)이 필요한데 이들은 생산활동 과정에서 마모되기 마련이다.

 

이처럼 생산에 이용된 기계 등 자산의 가치 감소분을 고정자본소모(consumption of fixed capital)라고 한다.

 

따라서 일정 기간 중에 생산된 생산물의 순수한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생산능력이 저하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여야 한다. 즉 고정자본소모만큼 조정해야 한다.

자동차공장을 예를 들어보면 먼저 자동차를 만들기 위해서는 차체 등 각종 부품이 있어야 하며 또 각종 부품을 조립하는 기계가 있어야 한다.

 

자동차를 만들게 되면 부품도 소모되지만, 조립기계도 닳게 된다.

 

여기에서 총생산액은 산출액에서 부품구입액 등 중간투입액을 차감한 총부가가치를 말하고 순생산액은 총부가가치에서 고정자본소모를 뺀 순부가가치이다.

 

그런데 고정자본소모는 현 수준의 생산활동을 지속하기 위하여 언젠가는 지출될 부분이므로 이 공장의 측면에서 보면 총생산보다는 본래의 기계 가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새로이 생산해 낸 부가가치 즉 순생산이 더욱 의미가 있을 것이다.

https://www.mk.co.kr/news/economy/10831431

10-1. 총고정자본형성

생산주체가 구입 또는 자가 생산한 모든 자본재를 말한다.

 

기업에서는 지속적인 생산능력을 유지하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후설비를 새로운 설비로 대체하거나 신규사업에의 진출을 위해 공장도 짓고 기계도 구입하는데 이러한 경제활동은 당해 연도의 이익만을 위한 것이 아니고 미래의 지속적인 수입의 보장 등 장기적인 안목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렇게 여러 회계연도에 걸쳐 생산에 이용되는 재화를 자본재라고 하며, 생산주체에 의한 자본재구입을 총고정자본형성이라 한다.

 

총고정자본 형성은 산업, 정부서비스생산자 및 민간비영리서비스 생산자가 고정자산을 추가하는데 따른 지출액을 의미하므로 토지나 중고품의 구입은 제외되고 고정자산을 구입할 때 상품가격과 함께 부담한 설치 비용이나 취득세, 등록세 등의 부대비용은 총고정자본형성에 포함시킨다.

 

우리나라의 경제활동별 총고정자본형성을 보면 서비스업이 제조업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네이버 지식백과] 총고정자본형성 [總固定資本形成, gross fixed capital formation] (매일경제, 매경닷컴)

반응형

'경제용어 바로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기자의 경제 용어 8  (2) 2024.06.06
이기자의 경제 용어 6  (2) 2024.05.30
이기자의 경제 용어 4  (0) 2024.05.27
이기자의 경제 용어 3  (0) 2024.05.26
이기자의 경제 용어 2  (0) 2024.05.25